이번에는 도커 컨테이너의 라이프사이클과 관련 명령어를 정리하겠습니다. 도커 컨테이너의 라이프사이클 도커 이미지가 컨테이너로 생성될 때의 라이프 사이클은 위의 그림과 같습니다. 도커 컨테이너 생성부터 종료까지 생명주기별로 다루어보겠습니다. 도커 컨테이너 생성 컨테이너 생성 - docker create $ docker create [image] docker create 명령어는 받은 도커 이미지를 컨테이너로 생성합니다. docker create 명령어를 입력하면, 도커엔진이 로컬 호스트에서 이미지 정보를 찾아서 컨테이너를 생성합니다.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도커 엔진이 생성한 컨테이너의 해쉬값을 반환합니다. 만약, 로컬 호스트에 이미지가 없을 경우에는 도커엔진이 자동으로 docker pull을 실행하여 Dock..
이번 포스트에서는 코루틴의 suspend 함수 원리와 CPS(Continuation Passing Style)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코루틴의 suspend는 어떻게 동작할까? 코루틴을 이용하면 비동기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동시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코루틴을 사용하면 콜백 지옥에서 벗어날 수 있고, 혹은 Reactive streams를 사용하기 위해서 복잡한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체이닝 방식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코루틴이 네트워크 요청과 같은 비동기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코루틴의 일시 중지하고 작업을 처리한 후 나중에 해당 지점에서 다시 재개할 수 있는 기능 덕분입니다. 이러한 기능 덕분에 비동기 작업을 처리할 때 ..
도커란? 도커(Docker)는 리눅스 컨테이너에 리눅스 어플리케이션을 프로세스 격리기술을 사용하여 더 쉽게 컨테이너로 실행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입니다. 도커는 일반적으로 도커 엔진(Docker Engine) 혹은 도커에 관련된 모든 프로젝트를 말합니다. 도커 엔진(Docker Engine)은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주체로서 이 자체로도 컨테이너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도커의 프로젝트입니다. 도커의 생태계에 있는 여러 프로젝트들은 도커 엔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도커의 핵심은 도커 엔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Virtual Machine(가상머신) vs Docker Container(도커 컨테이너) 기존에도 가상화 기술은 존..
원시 문자열(Raw String Literal)이란? Kotlin의 원시 문자열(Raw String)은 문자열을 표현하는 리터럴 중 한 유형으로 문자열 내에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하지 않고 특수 문자나 여러 줄의 텍스트를 문자 그대로 표현하는 문자열 리터럴입니다. 원시 문자열의 특징 원시 문자열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원시 문자열은 삼중따옴표(""")로 묶어서 정의 -> 따옴표가 아닌 삼중따옴표로 묶어서 정의합니다.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하지 않음 -> Raw String Literal 내에서는 \n, \t, \"와 같은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특수 문자를 그대로 포함할 수 있어 가독성이 높아집니다. 여러 줄의 텍스트 처리 -> 여러 줄로 구성된 텍스트를 표현할 때 유..
Fastlane이란? Fastlane은 Android 및 iOS 어플리케이션의 배포를 자동으로 도와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Fastlane을 이용하면 스크린샷, 앱 릴리즈, 코드 서명 등의 배포할 때 필요한 반복작업들을 자동화시킬 수 있습니다. Fastlane에서 지원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크린샷 자동화 2. 베타 배포 3. Play Store 배포 4. 코드 서명 (iOS용) 이 포스트에서는 Fastlane 설치 및 설정, Beta 배포와 Play Store에 배포하는 방법을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Fastlane 설치 Fastlane을 설치하는 방법은 homebrew를 이용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지만, 가장 권장하는 방법은 Bundler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입니다...